JP모건도 “코스피 5000 쉽게 간다”…관건은 주주환원 강화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JP모건도 “코스피 5000 쉽게 간다”…관건은 주주환원 강화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6 05:56






한국거래소,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 2025’ 개최


“코스피 5000 달성 위해 기업 지배구조 개선해야”


“내년 상반기 4000피…그 이후는 정책 실행에 달려”


“배당성향 올리고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점검해야”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내년 상반기 코스피 지수가 4000포인트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이재명 정부 목표치인 5000포인트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주주환원 강화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원본보기





29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거래소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KCMC) 2025’에서 참석자들이 ‘코스피 5000 시대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사진=김경은 기자)



한국거래소는 29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KCMC) 2025’를 열고 ‘코스피 5000 시대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자들은 배당소득 분리과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실행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가 연초 대비 44% 상승했음에도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05배로 여전히 낮다”면서 “한국 증시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력도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이어 “코스피는 내년 상반기에 4000선 돌파를 시도할 것”이라며 △달러 약세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의지 △기업 호실적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구체적으로 “달러 약세가 되면 미국에 있던 자금이 비(非)달러 국가로 흘러들어가고 PBR이 매력적인 코스피 시장이 가시권에 들어올 수밖에 없다.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도 4분기 중후반부터 가시화될 전망”이라며 “코스피 시가총액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도 좋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믹소 다스 JP모건 한국주식전략 책임자도 “한국의 방산, 조선, 전기·전자,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전 세계의 수요가 있어 한국 기업의 실적이 긍정적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식시장 활황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JP모건은 올해 한국 증시에 대한 기대 수준을 상향 조정했고 향후 코스피 4000을 넘어 5000까지도 쉽게 달성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주주 이익이 강화돼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 상법개정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시장은 관망하는 분위기”라고 지적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가 올해 40% 넘게 상승했지만 기업들의 이익추정치는 오히려 하향 조정됐다. 기업 실적이 아닌 주주환원 등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이라며 “상승 추세가 이어지려면 구체적인 정책의 실행이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25%로 하느냐, 35%로 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유 센터장은 “산업 구조 측면에서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비슷한 국가인 대만의 경우 배당성향이 약 50%이며 주가수익비율(PER)은 15배”라며 “우리나라 배당성향은 약 25%인데 대만 수준까지 올린다면 PER 15배를 인정받아 코스피 4000 달성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기업들이 이익 잉여금을 줄여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올린다면 코스피 5000도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문성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도 “코스피 5000 시대의 핵심 열쇠는 신뢰”라며 “신뢰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 소통에서 비롯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기관 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강화 등의 정책을 꾸준히 이어가야 한다”면서 “제도적 지원과 함께 자발적인 거버넌스 개선 노력이 함께 한다면 코스피 5000은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실현 가능한 목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은 코리아 프리미엄을 향한 자본시장 개혁 과제로 △주주권 강화 △기업 법제 선진화 △불공정 거래 근절 △금융 소비자 권익 강화 등을 꼽았다. 김 원장은 “주주에 대한 이사회 충실 의무가 도입됐지만 이사 선임과 이사 보수에 대해 일반 주주의 권리가 강화돼야 이사가 모든 주주를 위해 업무를 집행하게 될 것”이라면서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점검과 공적 연금·연기금의 역할 제고를 통해 기관 투자자들이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