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달라붙는 홍합처럼…세균·바이러스 막는 코팅제 개발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바위 달라붙는 홍합처럼…세균·바이러스 막는 코팅제 개발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11 09.14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김봉훈 교수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표지논문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김봉훈 교수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표지논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봉훈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진이 홍합의 접착력을 활용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동시에 막을 수 있는 차세대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김봉훈 교수 연구진은 단국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아주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이번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의 8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바위에 단단히 달라붙는 홍합의 접착 성질이다. 홍합이 분비하는 도파민 계열 물질은 젖은 표면에서도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는데,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응용해 홍합에서 유래한 접착제인 폴리도파민(PDA)을 활용한 생체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이 코팅은 피부처럼 거칠고 복잡한 표면에도 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두께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땀·체액 등으로 인한 전기 신호의 변화를 막아 생체 신호 측정의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PDA 층에 항생제 토브라마이신(TOB)을 결합하면 세균 살균 효과가 강화되고, 코로나바이러스의 표면 흡착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방식은 독성 화학물질을 쓰거나 진공 상태에서 작업해야 해 번거로웠다. 하지만 이번 기술은 물에서도 간단하고 안전하게 코팅할 수 있으며, 과일 껍질·동물 조직·피부처럼 성질이 다른 표면에도 똑같이 잘 붙는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의료기기나 웨어러블 센서에 적용하면 감염을 예방하고 생체 신호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봉훈 교수는 “홍합의 접착 원리를 응용한 이번 연구가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뜻깊다”며 “앞으로 의료 현장과 웨어러블 전자 소자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DGIST-단국대학교-KIST-아주대 공동연구팀./DGIST



















DGIST-단국대학교-KIST-아주대 공동연구팀./DGIST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5/09/12/S2CCXG6A75HDLG2KN7NBQY5U7E/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