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18
10.11

두 개의 거대한 블랙홀이 서로를 중심으로 도는 모습이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전파 영상에 담겼다. 과거에는 천문학자들이 단일 블랙홀의 이미지만 촬영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두 블랙홀이 함께 도는 모습이 하나의 전파 영상에 담겼다.
마우리 발토넨 핀란드 투르쿠대 교수팀은 초고해상도 전파망원경 자료를 분석해 퀘이사 ‘OJ 287’의 쌍둥이 블랙홀을 전파 영상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공개됐다.
OJ 287은 지구에서 약 50억 광년 떨어진 퀘이사로 밝기가 약 12년 주기로 변해 오래전부터 블랙홀 쌍이 공전한다는 가설이 제기됐다. 퀘이사는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급속히 삼키며 막대한 에너지를 내 은하보다 밝게 보이는 천체다. 1982년 투르쿠대 대학원생이던 아이모 실란파가 이 주기를 처음 보고한 뒤 전 세계가 40년 넘게 OJ 287을 추적했다.
결정적 단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행성 탐사위성 ‘테스(TESS, Transiting Exoplanet Survey Satellite)’ 관측에서 나왔다. 테스는 OJ 287에서 두 블랙홀 각각에서 나오는 빛의 변화를 분리해 감지했다. OJ 287에 실제로 블랙홀이 두 개 존재한다는 강력한 단서를 제시한 셈이다.
하지만 광학망원경의 해상도로는 두 블랙홀을 각각 구분할 수 없었다. 이를 분리하려면 약 10만 배 더 높은 해상도가 필요하다. ‘전파망원경을 이용한 간섭 기술(VLBI)’로만 가능한 관측이다.
연구팀은 지상의 여러 전파망원경과 우주 전파망원경 ‘라디오아스트론(RadioAstron)’을 연결해 지구보다 훨씬 큰 하나의 가상 망원경처럼 작동하는 관측 시스템을 구축했다. 러시아우주국이 2011년에 발사한 라디오아스트론은 지구에서 최대 약 35만 km 떨어진 고타원형 궤도를 돌며 관측을 수행한다.
라디오아스트론과 지상 망원경들이 동시에 같은 대상을 관측하면 지구와 달 사이에 맞먹는 거리 차이를 활용해 하나의 초대형 망원경처럼 작동한다. 그 결과 이전보다 훨씬 선명한 전파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측 방식을 ‘국제 전파간섭망(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이라고 부른다.

연구팀은 관측 데이터를 합성해 초고해상도 영상을 재구성했다. 그 결과 OJ 287 중심부에서 서로 다른 두 위치에서 전파가 방출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블랙홀 주변의 뜨거운 가스가 초고속으로 분출될 때 만들어지는 ‘전파 제트(radio jet)’로 각각의 제트가 두 블랙홀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서로 공전하는 두 블랙홀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영상 증거가 확보됐다.
연구팀은 작은 블랙홀에서 ‘꼬리를 흔드는(wagging-tail)’ 제트 형태도 관측했다. 작은 블랙홀이 큰 블랙홀 주위를 빠른 속도로 돌면서 제트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휘는 현상으로 앞으로 몇 년 안에 제트의 방향이 실제로 바뀌는 모습이 다시 관찰될 것으로 예상된다.
발토넨 교수는 “두 블랙홀이 서로를 도는 모습을 처음으로 전파 영상으로 확인했다”며 “이번 관측은 초대질량 블랙홀이 어떻게 병합하고 진화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 증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74464
토토하이, 토토하이먹튀신고, 토토힌먹튀사이트, 토토하이먹튀검증사이트, 토토하이먹튀없는사이트, 토토먹튀, 먹튀토토, 토토하이먹튀예방, 토토하이먹튀제보, 토토하이먹튀확인, 토토하이먹튀이력조회, 먹튀피해, 토토하이먹튀검증업체, 토토하이먹튀사이트검증, 토토하이먹튀공유, 토토하이먹튀사이트목록, 토토하이먹튀리스트, 토토하이안전공원, 토토하이안전놀이터, 토토하이안전사이트, 토토하이검증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