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 또 발사!…올해 11월 우주 역사 새로 쓴다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발사! 또 발사!…올해 11월 우주 역사 새로 쓴다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3 05:03







23

일 이노스페이스에 이어

27

일 새벽 누리호 4차 발사




‘한빛-나노’ 발사체가 우리나라 시간으로 23일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Alcântara Launch Center)에서 발사된다. [사진=이노스페이스]

원본보기




‘한빛-나노’ 발사체가 우리나라 시간으로

23

일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

Alcântara


Launch


Center

)에서 발사된다. [사진=이노스페이스]







우리나라가

2025



11

월 두 차례, 어느 새벽에 우주 역사를 새로 쓸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23

일과

27

일 새벽에 ‘한빛-나노(이노스페이스)’와 ‘누리호(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우주로 발사된다.






두 발사체는 공통점이 있다. ‘한빛-나노’는 민간기업이 만든 첫 소형 발사체이다. 누리호는 이번이 4차 발사로 총조립을 그동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하던 것을 민간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맡았다.






이른바 정부가 하던 우주산업이 민간기업으로 전환되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어젖히는 순간에 우리나라는 서 있는 셈이다.











민간 우주 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대표 김수종)가 첫 상업 발사체 ‘한빛-나노(

HANBIT-Nano

)’ 스페이스워드(

SPACEWARD

) 미션 발사 예정일을 브라질 현지 시간 오는

22

일(한국시간,

23

일 오전 3시)로 결정했다.






발사 예정일은 우주항공청 대표단의 현장 안전 점검 결과와 브라질 공군과 협의를 거쳐 정했다. 기상 조건, 발사체·위성 간 통합 절차, 발사 안전 통제와 현지 운용 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설정됐다.






이노스페이스는 이번 발사를 통해 독자 개발한 ‘한빛-나노’ 첫 상업 발사체로 ‘스페이스워드(

Let’s


Space


Forward

슬로건)’ 임무를 수행한다. 고객의 위성을 고도

300km

, 경사각

40

도의 지구 저궤도(

LEO

)에 투입하는 임무를 맡았다. 탑재체는 궤도 투입 목적의 소형위성 5기, 비분리 실험용 장치 3기 등 정규 탑재체 총 8기를 포함해 브랜딩 모델 1종 등이다.












‘한빛-나노’는 높이

21.8m

, 직경

1.4m

의 2단형 우주 발사체이다. 1단에 추력

25

톤급 하이브리드 로켓엔진 1기, 2단에 추력 3톤급 액체메탄 로켓엔진 1기를 장착한다. 발사장은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

Alcântara


Launch


Center

)이다.






발사를 앞두고 이노스페이스 측은 지난

11

일 고객 위성·실험용 탑재체의 기능 점검과 위성–발사체 인터페이스 연동 테스트에 돌입했다. 목적한 궤도에 투입하기 전, 발사 직전에 하는 필수 과정이다.












'한빛-나노' 발사체가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이동하고 있다. [사진=이노스페이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사장은 “이노스페이스가 민간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상업 발사 서비스를 위해 고객의 위성을 발사체에 탑재하는 순차적 절차를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직접 수행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성과”라며 “고객을 대상으로 한 실질적 서비스 제공 준비를 완료하고 상업화 단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다.






리스크는 없지 않다. 그동안 여러 나라에서 발사체를 쏘아 올렸는데 첫 발사에 성공한 사례는 드물다. 우리나라도 나로호는 물론 누리호 1차 발사에 실패한 바 있다.







1957

년부터

2009

년까지 국가별로 발사한 주요

14

개 발사체 중 첫 발사에 성공한 사례는 4건(러시아, 프랑스, 우크라이나, 이스라엘)에 불과하다. 최근 발사체별로 분석해 보면 발사체의 발사 성공률은

59

%에 머물렀다.






박순영 우주항공청 재사용발사체프로그램장은 “이른바 첫 발사는 개발의 일환으로 판단해 기술적 완성도 보다는 실패하더라도 데이터 축적을 통한 하나의 학습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노스페이스가 이번 첫 상업 발사에 실패하더라도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발사체는 물론 탑재체에 대해서는 보험 가입이 돼 있기 때문이다.






이노스페이 관계자는 “역사적으로 첫 상업 발사에서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는데 이노스페이스는 그동안 기술 검증은 물론 고객사들이 첫 발사임에도 탑재체를 싣겠다고 하는 등 신뢰를 보이고 있다”며 “발사 당일까지 그 어떤 문제가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누리호가 4차 발사를 앞두고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장에 기립해 있다. 27일 새벽에 우주로 간다. [사진=우주청]

원본보기




누리호가 4차 발사를 앞두고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장에 기립해 있다.

27

일 새벽에 우주로 간다. [사진=우주청]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27

일 새벽에 우주로 날아간다.

27



00



54

분부터

01



14

분 사이에 발사할 계획이다. 이번 누리호는 4차 발사이다. 1차 실패,

2·3

차 성공만으로만 본다면 발사 성공률은

66

%쯤 되는 셈이다.






누리호 4차 발사는 그동안의 발사 시스템과 달라진 게 많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총조립하고 탑재체까지 결합시켰던 것을 이번엔 민간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도맡았다. 이런 측면에서 ‘누리호 4차 발사’는 첫 상업 발사인 셈이다. 누리호는 1차 실패,

2·3

차 성공으로 이어졌다. 이번 4차 발사에 성공하면 그만큼 누리호의 발사체 능력과 신뢰도는 높아진다.






이 과정에서 챙겨야 할 것은 있다. 민간이 첫 총조립에 나선 발사체이고 그동안 낮에 발사했는데 이번엔 새벽에 발사한다는 점에서다.

2023

년 5월 누리호 3차 발사에 이어 약 2년 6개월 만에 이뤄진다는 점도 긴장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번 누리호 4차에 탑재될 위성은 주탑재위성(차세대중형위성 3호)과 큐브위성(

12

기) 등 총

13

개이다. 누리호는 3단으로 구성돼 있고 최종 목표 궤도는

600km

이다.






한영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발사체연구소장은 지난

11

일 한국과학기자협회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기술적으로 낮과 밤에 발사하는 것의 차이는 없는데 인력 피로도는 변수가 될 수 있고 이런 상황에 대한 절차를 세분화하고 점검 단계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누리호가 최종 점검을 거치고 있다. [사진=우주청]



누리호가 최종 점검을 거치고 있다. [사진=우주청]







발사체는 수만 개의 부품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돼 있다. 지상에서 보는 것과 달리 우주로 발사했을 때 실시간 여러 상황(속도, 각도, 기상 상황 등등)에 따라 변수가 무수히 많이 뒤따른다. 이 때문에 첫 발사에서 성공을 거두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소형 발사체인 ‘한빛-나노’와 대형 발사체인 ‘누리호 4차 발사’가

11

월에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우리나라는 본격적으로 뉴스페이스 시대로 진입하는 새로운 이정표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